S&P500 지수 편입 소식, 코인베이스 주가 날아오르다
코인베이스가 미국 증시의 대표 벤치마크인 S&P500 지수에 편입된다. 이는 2021년 4월 나스닥에 상장한 지 약 4년 1개월 만에 거둔 성과다. 미국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는 오는 5월 19일부터 S&P500 지수 내에서 거래를 시작한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코인베이스 주가는 정규장에서 3.96% 상승했고, 시간외 거래에서는 9.49% 급등했다. 종가는 207.22달러를 기록했으며, 시가총액은 약 530억 달러에 달한다.
S&P500 지수는 미국 증권 시장에 상장된 대형주 500개 기업의 주가를 종합한 지수로, 미국 경제의 건전성과 전반적인 주식 시장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벤치마크다. 코인베이스는 미국 금융 서비스 기업 디스커버 파이낸셜 서비스를 대체해 S&P500에 진입하게 됐다.
S&P500 편입은 일정 규모 이상의 시가총액과 유동성, 최근 4개 분기 누적 이익 등 엄격한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이번 편입으로 코인베이스 주가의 추가 상승이 기대되는데, 이는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펀드들이 해당 종목을 포트폴리오에 새로 편입하는 과정에서 매수세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2025년 1분기 실적과 미래 전망
코인베이스는 2025년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20억 3천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하지만 순이익은 6,56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90% 이상 급감했다. 1분기 주당순이익(EPS)은 0.24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2.09달러를 크게 밑돌았다. 이에 실적 발표 후 시간외 거래에서 주가가 3.34% 하락하기도 했다.
거래 부문에서는 소비자 및 기관 거래량이 각각 17%, 9% 감소했지만, 구독 및 서비스 매출은 9% 성장했다. 코인베이스는 2025년 2분기 구독 및 서비스 매출을 6억~6억8000만 달러로 전망하고 있으며, 암호화폐 거래 시장이 다소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편, 2024년에는 115%의 매출 성장과 1.2조 달러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암호화폐 거래소 시장에서 지배적 위치를 확고히 했다. 연간 매출은 9조5700억 원(약 66억 달러)으로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3조7700억 원(약 26억 달러)에 달했다.
사업 다각화 및 혁신 전략
1. Base 레이어2 블록체인: 코인베이스는 이더리움 기반 옵티미스틱 롤업 기술을 활용한 'Base' 체인을 운영 중이다. 2023년 8월에 메인넷을 출시한 이후 빠르게 성장해, 5월에는 트랜잭션 수가 1월 대비 9배, 이용자 수는 약 4배 증가했다.
2. 스테이블코인 파트너십: USDC 스테이블코인 사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코인베이스는 이를 통해 국제 결제, 낮은 수수료, 빠른 정산 시간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3. 토큰화 이니셔티브: 실물 자산의 토큰화를 통해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절차를 변화시키고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을 바탕으로 2025년에는 △수익 확대 △실사용 증가 △기반 확장을 주요 목표로 설정했다. 특히 거래 시장 점유율 확대와 스테이블코인 USDC 성장 가속화, 스테이킹과 커스터디 서비스, 코인베이스 원 등의 구독형 서비스 확장에 주력할 계획이다.
장기 비전 및 업계 전망
브라이언 암스트롱 CEO는 "향후 5~10년 내 코인베이스를 세계 최고의 금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그는 암호화폐 기반 금융이 전통 금융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하며, 코인베이스가 이 변화의 중심에 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코인베이스는 미국 내 스테이블코인 및 시장 구조 관련 법안 논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규제 명확성이 산업 성장에 필수적이라는 입장이다. 미국 대선 이후 암호화폐 규제 환경이 개선될 경우, 코인베이스의 성장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블랙록, 스트라이프, 페이팔 등 200개 이상의 기관이 이미 코인베이스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과 기관의 암호화폐 채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상장 토큰 관리 강화
코인베이스는 상장 기준 미준수를 이유로 5월 15일부터 무브먼트 랩스(Movement Labs)의 MOVE 토큰 거래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무브 토큰은 코인베이스 발표 이후 24시간 동안 13.6% 하락했으며, 5월 8일에는 0.158달러까지 떨어졌다.
이 조치는 무브 토큰을 둘러싼 내부 거래 의혹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무브먼트 랩스는 6600만 MOVE 토큰을 시장에 매도한 알 수 없는 중개인에게 권한을 부여한 계약을 체결했고, 이로 인해 3800만 달러 규모의 토큰이 대량 매도된 바 있다.
코인베이스는 또한 5월 16일부터 △갤렉스(GAL) △리텐트리(LIT) △마인즈 오브 다르니아(DAR) △오리온 프로토콜(ORN) △파르식(PRQ) 등 5개 토큰의 거래도 중단할 예정이다.
애널리스트 전망
애널리스트들은 코인베이스 목표주가를 185~475달러로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어, 시장의 성장 잠재력에 대한 기대가 여전히 높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일부 분석가들은 주당순이익 예상치를 하향 조정했으며, P/E 비율이 19.95배로 다소 고평가되어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요약
- S&P500 지수 편입으로 위상 강화: 코인베이스는 S&P500 지수에 편입되어 암호화폐 기업의 메인스트림 금융 시장 진입이라는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 성장 전략 다변화: 거래 서비스를 넘어 Base 레이어2 체인, 스테이블코인, 토큰화 등 다양한 영역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 중이다.
- 장기적으로 '금융 슈퍼앱' 지향: 브라이언 암스트롱 CEO는 코인베이스를 향후 세계 최고의 금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발전시키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 1분기 실적 부진, 장기 성장성 주*: 2025년 1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했으나, 구독 및 서비스 매출 성장은 긍정적 신호로 평가된다.
- 규제 환경 개선 기*: 미국 대선 이후 암호화폐 규제 환경 개선 가능성에 따른 성장 가속화가 전망된다.
나스닥 퇴출 통보받은 리첸차이나 상장폐지 위기 (1) | 2025.05.13 |
---|---|
서울 주담대 연체율 역대 최고치 경신 (2) | 2025.05.13 |
마이쉘 SHELL코인 8백만 달러 바이백 발표 (0) | 2025.05.13 |
리프트 28% 주가 폭등 우버에 맞서는 다크호스 (0) | 2025.05.11 |
웨스트록 커피 2025년 매출 폭풍 성장 예고 (1) | 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