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EBITDA 돈 잘 버는 회사인 척하는 지표

재테크

by 행복줍기 2025. 3. 27. 08:22

본문

320x100
반응형

EBITDA 돈 잘 버는 회사인 척하는 지표


1. EBITDA란 무엇인가?

EBITDA는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의 줄임말로, 이자, 세금, 감가상각, 무형자산상각을 빼기 전 회사 수익을 말한다. 쉽게 말해 회사가 본업에서 얼마나 돈을 벌었는지 보여주는 숫자다.

회사가 버는 돈에서 다음 항목들을 빼기 전 금액이다

  • 이자: 빌린 돈에 대해 내는 돈
  • 세금: 정부에 내는 돈
  • 감가상각: 건물이나 기계가 낡아서 가치가 떨어지는 것
  • 무형자산상각: 특허나 상표와 같은 보이지 않는 자산의 가치 하락

2. EBITDA가 왜 중요한가?

EBITDA는 회사의 실제 영업 성과를 볼 수 있어 중요하다. 이 숫자로 회사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돈을 버는지 알 수 있다.

회사마다 세금 상황과 빚이 다르므로, EBITDA는 이런 차이를 제외하고 순수한 사업 성과를 비교할 수 있게 한다. 투자자와 은행은 EBITDA를 보고 회사가 얼마나 수익성이 있는지 판단한다.

EBITDA는 마치 회사 돈벌이 실력을 보여주는 성적표 같다. 이 숫자가 높을수록 회사가 본업에서 더 많은 현금을 만든다는 뜻이다.

3. EBITDA 계산법

EBITDA를 계산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방법 1

매출 - 영업비용(인건비, 임대료 등) = EBITDA

방법 2

순이익 + 이자 + 세금 + 감가상각 + 무형자산상각 = EBITDA

쉬운 예로 설명하면: 회사가 장난감을 팔아 100만원을 벌었다. 장난감 재료비와 가게 운영비로 60만원을 썼다. 그러면 EBITDA는 40만원이다(100만원 - 60만원).

4. EBITDA vs 순이익 차이점

항목 EBITDA 순이익
정의 이자, 세금, 감가상각, 무형자산상각 전 수익 모든 비용을 제외한 최종 이익
포함 항목 주요 영업 비용만 제외 모든 비용 제외
장점 순수 사업 성과 측정 가능 실제 회사에 남는 돈 확인 가능
단점 실제 부채 상황 반영 안 함 단기적 변동 가능성
주 사용처 회사 간 영업 성과 비교 실제 수익성 평가

5. EBITDA의 한계

EBITDA만 보면 회사 상황을 잘못 판단할 수 있다. 이 지표가 숨기는 것들

  1. 부채 상황: EBITDA는 빚이 많은 회사도 좋아 보이게 할 수 있다.
  2. 투자 필요성: 기계나 시설 교체 비용을 고려하지 않는다.
  3. 현금 흐름: 실제 현금이 얼마나 들어오고 나가는지 보여주지 않는다.
  4. 회계 조작 가능성: 일부 비용을 다르게 분류해 EBITDA를 부풀릴 수 있다.

유명 투자자 워렌 버핏은 "EBITDA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들이 무엇을 말하는지 모른다"고 비판했다.

6. EBITDA 활용 팁

EBITDA를 볼 때는 다음 점들을 함께 확인하자

  1. EBITDA 마진: EBITDA÷매출 = 회사가 매출에서 얼마나 이익을 남기는지 보여준다.
  2. 부채 비율: 회사가 얼마나 빚을 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3. 자본 지출: 회사가 미래를 위해 얼마나 투자하는지 본다.
  4. 현금 흐름: 실제로 현금이 얼마나 들어오고 나가는지 확인한다.
  5. 업계 평균과 비교: 같은 업종 다른 회사들과 비교해 본다.

EBITDA는 여러 지표 중 하나일 뿐이다. 투자나 회사 평가를 할 때는 여러 각도에서 분석해야 더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

EBITDA가 높다고 반드시 좋은 회사는 아니다. 중요한 건 지속 가능한 수익과 건전한 재무 상태다. 회사가 빚을 갚고 미래에 투자할 여력이 있는지 함께 살펴보자.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