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ITDA는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의 줄임말로, 이자, 세금, 감가상각, 무형자산상각을 빼기 전 회사 수익을 말한다. 쉽게 말해 회사가 본업에서 얼마나 돈을 벌었는지 보여주는 숫자다.
회사가 버는 돈에서 다음 항목들을 빼기 전 금액이다
EBITDA는 회사의 실제 영업 성과를 볼 수 있어 중요하다. 이 숫자로 회사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돈을 버는지 알 수 있다.
회사마다 세금 상황과 빚이 다르므로, EBITDA는 이런 차이를 제외하고 순수한 사업 성과를 비교할 수 있게 한다. 투자자와 은행은 EBITDA를 보고 회사가 얼마나 수익성이 있는지 판단한다.
EBITDA는 마치 회사 돈벌이 실력을 보여주는 성적표 같다. 이 숫자가 높을수록 회사가 본업에서 더 많은 현금을 만든다는 뜻이다.
EBITDA를 계산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매출 - 영업비용(인건비, 임대료 등) = EBITDA
순이익 + 이자 + 세금 + 감가상각 + 무형자산상각 = EBITDA
쉬운 예로 설명하면: 회사가 장난감을 팔아 100만원을 벌었다. 장난감 재료비와 가게 운영비로 60만원을 썼다. 그러면 EBITDA는 40만원이다(100만원 - 60만원).
항목 | EBITDA | 순이익 |
정의 | 이자, 세금, 감가상각, 무형자산상각 전 수익 | 모든 비용을 제외한 최종 이익 |
포함 항목 | 주요 영업 비용만 제외 | 모든 비용 제외 |
장점 | 순수 사업 성과 측정 가능 | 실제 회사에 남는 돈 확인 가능 |
단점 | 실제 부채 상황 반영 안 함 | 단기적 변동 가능성 |
주 사용처 | 회사 간 영업 성과 비교 | 실제 수익성 평가 |
EBITDA만 보면 회사 상황을 잘못 판단할 수 있다. 이 지표가 숨기는 것들
유명 투자자 워렌 버핏은 "EBITDA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들이 무엇을 말하는지 모른다"고 비판했다.
EBITDA를 볼 때는 다음 점들을 함께 확인하자
EBITDA는 여러 지표 중 하나일 뿐이다. 투자나 회사 평가를 할 때는 여러 각도에서 분석해야 더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
EBITDA가 높다고 반드시 좋은 회사는 아니다. 중요한 건 지속 가능한 수익과 건전한 재무 상태다. 회사가 빚을 갚고 미래에 투자할 여력이 있는지 함께 살펴보자.
커피 가격 25% 인상 폭등 이유 (3) | 2025.03.28 |
---|---|
트럼프와 손잡은 USD1 스테이블코인 (5) | 2025.03.27 |
지드래곤 사이버트럭도 리콜 대상인가? (3) | 2025.03.26 |
알리바바 회장 미국 AI 투자금액 730조 광풍 경고 (2) | 2025.03.26 |
무시당하던 AT&T 통신업계 다크호스의 부활 (2)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