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 비대증은 50대 이상 남성에게 흔한 질환이다. 전립선이 커지면서 요도를 압박해 소변 문제를 일으킨다. 이 증상은 나이가 들수록 더 심해진다. 대한비뇨의학회 자료에 따르면 50대 남성의 절반, 70~80대 남성의 80% 이상이 이 증상을 경험한다.
초기에는 가벼운 증상으로 시작해 대수롭지 않게 여기기 쉽다. 하지만 방치하면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진다. 특히 밤에 자주 깨는 야뇨 증상은 수면 부족으로 이어져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
유한양행이 2025년 4월 14일 전립선 비대증 환자를 위한 일반의약품 '카리포맨 연질캡슐'을 출시한다.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바로 구매할 수 있어 병원 방문이 부담스러운 초기 환자들에게 희소식이다.
카리포맨은 전립선 비대로 인한 배뇨 장애를 개선하는 약이다. 야뇨, 빈뇨, 잔뇨감, 소변 줄기 약화 등의 증상을 완화해준다. 1일 2회, 1회 1캡슐 복용하며 식후에 먹는 것이 좋다.
카리포맨의 주성분은 '쿠쿠르비트종자유엑스'이다. 이는 서양호박씨 오일 추출물로, 전립선 비대의 원인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 생성을 억제한다. 또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도 있어 배뇨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준다.
이 성분은 유럽에서 오랫동안 전립선 비대증 치료에 사용되며 안전성과 효과가 입증됐다. 기존 처방약과 달리 기립성 저혈압이나 성기능 장애 같은 부작용이 적은 것이 장점이다.
2,245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 연구 결과, 3개월 복용 후 야간 배뇨 횟수가 평균 2.35회에서 0.94회로 약 60% 감소했다. 국제전립선증상점수(IPSS)와 삶의 질(QoL) 점수도 크게 개선됐다.
전립선 비대증의 초기 증상은 다음과 같다:
증상 | 설명 | 의심 기준 |
빈뇨 | 소변을 자주 보게 됨 | 하루 8회 이상 화장실 방문 |
야뇨 | 밤에 소변 때문에 깨는 현상 | 밤에 2회 이상 깨는 경우 |
잔뇨감 | 소변 본 후에도 방광이 비워지지 않은 느낌 | 시원하지 않은 배뇨 경험 |
소변 줄기 약화 | 소변 흐름이 약하거나 가늘어짐 | 힘을 줘야 소변이 나옴 |
절박뇨 | 갑자기 소변이 마려워 참기 어려움 | 급하게 화장실 찾는 상황 빈번 |
지연뇨 | 소변 시작이 늦어짐 | 배뇨 시작까지 기다려야 함 |
이런 증상들은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오해하기 쉽다. 하지만 방치하면 요로감염, 방광결석, 신장 손상 등 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혈뇨, 배뇨 통증, 소변을 전혀 볼 수 없는 요폐 증상이 있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카리포맨은 4월 14일부터 전국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온라인 약국 플랫폼과 유한양행 공식 웹사이트에서도 판매될 예정이다. 가격은 30캡슐 기준 약 3만~5만 원대로 예상된다. 정확한 가격은 약국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카리포맨을 복용할 때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전립선 건강을 위한 생활 습관 팁
전립선 비대증은 조기에 관리하면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카리포맨은 처방전 없이 구매 가능한 일반의약품으로, 병원 방문이 부담스러운 초기 증상자에게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약물 치료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규칙적인 운동, 적절한 수분 섭취, 건강한 식습관 등 생활 습관 개선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 증상이 심하거나 약물로 개선되지 않는다면 전문의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50대 이상 남성이라면 전립선 건강에 관심을 갖고, 증상이 나타날 때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삶의 질을 유지하는 지름길이다.
앤서니 브라운 서울 전시회 5월 2일 (1) | 2025.04.13 |
---|---|
이스타항공 채식·할랄 기내식으로 여행 만족도 UP (1) | 2025.04.13 |
페이커 기념메달 단 507개 한정판! 구매방법 (1) | 2025.04.12 |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 5월 렌고쿠 생일에 4K로 부활 (0) | 2025.04.12 |
입구는 암벽등반, 출구는 바다 BTS 진도 반한 대환장 기안장 (1) | 2025.04.11 |
행복줍기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