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스마트폰에 저장해 사용하는 디지털 형태의 신분증이다.
기존 플라스틱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지며,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분산 ID 시스템을 통해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핵심 가치는 '자기 정보 결정권'에 있다.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직접 스마트폰에 보관하고, 필요할 때 필요한 정보만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개인정보 보호가 한층 강화된다.
행정안전부는 2024년 12월 27일부터 시범 운영 중이던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을 2025년 2월 14일부터 단계적으로 전국으로 확대한다.
단계 | 대상 지역 | 발급 개시일 | 비고 |
1단계 | 대구, 대전, 울산, 강원,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 2025.2.14 | 시범 발급 지자체 노하우 활용 |
2단계 | 인천, 경기, 충북, 충남 | 2025.2.28 | 인구 규모가 크고 젊은 세대가 많은 지역 |
3단계 | 서울, 부산, 광주 | 2025.3.14 | 권역별 거점 특광역시 |
2025년 3월 28일부터는 주민등록지와 상관없이 전국 어디서나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신청하고 발급받을 수 있다.
단, 1~3단계 기간(2월 14일~3월 27일)에는 주민등록지 관할 지자체 주민센터에서만 신청·발급이 가능하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은 17세 이상 국민 중 희망자에 한해 발급한다.
발급을 위해서는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을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에 설치해야 한다.
IC 주민등록증은 기존 주민등록증에 IC칩을 내장한 형태로, 최초 발급 대상자는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다.
기존 실물 주민등록증을 IC 주민등록증으로 교체할 경우 수수료 1만 원(재발급 수수료 5천 원 + IC칩 비용 5천 원)이 발생한다.
이 방법은 별도 비용이 들지 않지만, 휴대폰 교체나 앱 삭제 시 주민센터를 다시 방문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구분 | 기존 실물 주민등록증 | 모바일 주민등록증 |
형태 | 플라스틱 카드 | 스마트폰 앱 |
개인정보 노출 | 모든 정보 노출 | 필요한 정보만 선택적 제공 가능 |
분실 위험 | 높음 | 낮음 (스마트폰 분실 시에도 원격 차단 가능) |
재발급 | 주민센터 방문 필요 | IC 주민등록증 소지 시 앱에서 직접 재발급 가능 |
온라인 활용 | 제한적 |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에서 활용 가능 |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행정기관, 금융기관, 병원 등에서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주요 공공서비스와 모바일 금융서비스에서의 사용 범위도 계속 확대될 예정이다.
기대효과
Q: 스마트폰을 교체했을 때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어떻게 재발급 받나?
A: IC 주민등록증 소지자는 스마트폰에 IC 주민등록증을 태그하여 재발급 받을 수 있다.
기존 주민등록증 소지자는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QR 촬영으로 재발급 받을 수 있다.
Q: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어디서 사용할 수 있나?
A: 실물 주민등록증을 사용하는 모든 곳에서 사용 가능하며,
온라인 서비스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Q: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보안은 안전한가?
A: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기술을 적용해 개인정보는 본인의 스마트폰에만 안전하게 보관된다.
정보 제공 시에도 필요한 정보만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디지털 시대에 걸맞은 혁신적인 신분증 서비스다.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신분을 증명할 수 있고,
필요한 정보만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도 큰 장점이 있다.
3월 28일부터는 전국 어디서나 발급이 가능해지니, 디지털 신분증의 편리함을 경험해 보자.
2025년 남양주시 전기차 보조금 지원 차종별 정리 테슬라 현대 기아 (1) | 2025.03.15 |
---|---|
남양주시 노후 자동차 조기폐차 지원사업 최대 보조금 받는 방법 (3) | 2025.03.14 |
iOS 18.3.2 긴급 업데이트! 웹킷 취약점 해결 (6) | 2025.03.13 |
KTX 14년 만에 철도요금 인상 예정 (1) | 2025.03.12 |
소파 사이드테이블 원목 월넛 800 (5)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