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운드하운드 AI는 대화형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는 선두 기업이다.
이 회사의 핵심 사업은 사람들이 단순히 목소리만으로 지능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 개발에 집중한다.
세계 20대 패스트푸드 기업 중 30% 이상이 사운드하운드의 기술을 사용한다.
현대자동차부터 스텔란티스(크라이슬러, 지프, 닷지 소유)까지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도 이 기술을 도입했다.
주요 적용 분야
현재 치폴레, 크리스피 크림, 파파존스, 버거킹 등 10,000개 이상의 매장에서 사운드하운드 기술을 사용 중이다.
엔비디아는 2023년 말 사운드하운드 AI를 포함한 여러 소규모 AI 기업에 투자했다.
그러나 2023년 12월 31일 기준 주식 보유 현황을 담은 최신 13F 양식에서 사운드하운드가 빠졌다.
엔비디아가 연말에 보유 지분을 전량 매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운드하운드 주가는 2023년 12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이후 64% 이상 급락했다.
매출 성장
사업 다각화
수주 잔고
2025년 전망
심각한 손실
이 추세라면 회사의 현금 소진 속도가 지속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주가 지표 비교
기업 | 시가총액 | 매출 대비 주가(P/S) | 2025년 예상 P/S 비율 |
사운드하운드 AI | 31억 달러 | 34.2 | 17.9 |
엔비디아 | 2.6조 달러 | 20.4 | 12.7 |
사운드하운드의 P/S 비율은 엔비디아보다 68% 높다.
이는 수십 년의 성공 이력을 가진 대형 AI 기업들과 비교해도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엔비디아가 사운드하운드 지분을 매각한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다.
엔비디아가 보유했던 173만 주는 현재 가격으로 약 1,480만 달러에 불과해
2.6조 달러 규모의 엔비디아에게 중요한 금액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러나 사운드하운드의 높은 밸류에이션은 향후 주가 상승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특히 엔비디아가 투자를 철회한 상황에서 일반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구분 | 사운드하운드AI | 엔비디아 |
시가총액 | 31억 달러 | 2.6조 달러 |
매출(2024년) | 8,470만 달러 | 수천억 달러 |
매출 성장률(2024년) | 85% | 높은 성장률 유지 |
순이익/손실(2024년) | 3억 5,060만 달러 손실 | 수백억 달러 이익 |
매출 대비 주가(P/S) 비율 | 34.2 | 20.4 |
2025년 예상 P/S 비율 | 17.9 | 12.7 |
현금 보유액 | 1억 9,800만 달러 | 수백억 달러 |
주요 사업 분야 | 대화형 AI 솔루션 | AI 반도체 칩 생산 |
수주 잔고 | 12억 달러 | 수조 달러 추정 |
시장 지위 | 대화형 AI 분야 선두주자 | AI 반도체 시장 독점적 지위 |
MG손해보험 파산 시나리오 124만명 계약자 위기 (7) | 2025.03.15 |
---|---|
아이유 박보검이 일으킨 주가 폭등 팬엔터테인먼트 폭싹 속았수다 (5) | 2025.03.14 |
2025년 다자녀 가족 맞춤 혜택 의료비부터 주택까지 (3) | 2025.03.14 |
최대 5% 수익에 리스크는 제로 SGOV vs BIL 비교 분석 (1) | 2025.03.14 |
JP모건이 선보인 신흥 시장 ETF JLOC vs JSEM (2)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