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주 4일 근무 가능할까?

일상

by 행복줍기 2025. 1. 29. 06:09

본문

320x100
반응형

 

"주 4일 근무제의 혁신, 우리의 삶이 바뀐다"
직장인이라면 한 번쯤 꿈꾸는 주 4일 근무제다.

평일 하루를 더 쉴 수 있다니, 상상만 해도 즐겁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 4일 근무제가 뜨거운 화제다.

영국,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시도하고 있는 주 4일 근무제의 현황과 전망을 살펴보자.

주 4일 근무제란 무엇인가?
주 4일 근무제는 기존 주 5일 근무에서 하루를 줄여 일하는 제도다.

보통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일하고 금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쉬는 형태로 운영된다.

급여는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핵심이다.



영국의 주 4일 근무제 실험 결과
영국은 2022년 6월부터 6개월간 주 4일 근무제 시범사업을 진행했다. 

61개 기업, 2,900여 명의 직원이 참여한 이 실험의 결과는 놀라웠다.

구분 변화
이직률 65% 감소
병가 65% 감소
직원 만족도 90% 증가
매출 평균 1.4% 증가
스트레스 71% 감소


특히 주목할 점은 업종별 도입 현황이다. 

마케팅, 광고, 홍보 회사가 30개로 가장 많았고, 

자선단체와 NGO가 29개, IT 기업이 24개로 그 뒤를 이었다. 


일본의 과감한 도전
일본은 더욱 과감한 도전을 시작한다. 

도쿄도청이 2025년 4월부터 16만 명의 직원들에게 주 4일 근무제를 도입한다. 

이는 세계 최대 규모의 주 4일 근무제 시행이 될 것이다.

일본이 이처럼 과감한 결정을 내린 배경에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있다.

문제 현황
저출산 연간 출생아 수 75만 명
과로사 연간 54건 이상
노동력 부족 전국적으로 심각

 


미래는 어떻게 될까?
빌 게이츠는 AI의 발전으로 미래에는 주 3일 근무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AI가 식량 생산 등 필수적인 업무를 처리하면서, 

인간은 더 창의적이고 의미 있는 일에 집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직원들의 생각은 어떨까?

연령대 찬성률
20대 73%
30대 70%
전체 51%


다만 주 4일 근무제 도입에는 몇 가지 고려사항이 있다.
첫째, 임금 문제다. 64%의 직원들이 임금이 감소한다면 주 4일 근무를 원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둘째, 업무 효율성이다. 줄어든 시간 내에 동일한 업무를 처리해야 하므로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셋째, 고객 서비스다. Thrive와 같은 회사들은 5일 고객 지원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주 4일 근무제 도입을 포기했다.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1. 업무 프로세스 재설계
2. 디지털 전환 가속화
3. 유연한 근무 형태 도입
4. 성과 중심의 평가 체계 구축

주 4일 근무제는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나라도 시범사업을 통해 차근차근 준비해 나가야 할 때다. 

직원의 행복과 기업의 성장이 함께 가는 새로운 근무 문화가 시작되고 있다.

이대로 가면 주 1일제도 얼마 남지 않은 거 같다.

아마 놀고먹는 세상이 올 수도 있다.

아니 놀고 아무것도 못 먹는 

일하고 싶어도 일을 못하는 세상이 다가오고 있는 것 같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행복줍기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